목차
Clean Architecture?
몇 주 전 미루고 미루던 Clean Architecture를 완독하였다. 그리고 기대가 컸던 탓인지 실망도 컸다. 우선, 평소에 읽는 서적들과 달리 정보의 밀도가 굉장히 낮았다. 이곳저곳 흥미있는 내용과 경험에서 나오는 조언이 있었지만, 책을 읽는 내내 같은 말을 반복한다는 느낌이 떠나지 않았다. 결국 핵심은 의존성 역전(Dependency Inversion)과 구조 사이의 선을 잘 그으라는 것. 책은 이를 중심으로 다양한 사례와 경험을 서술한다. 그 중 가장 유명하고 이 책의 제목을 본딴 '디자인 패턴'이 위 그림에 나온 Clean Architecture이다.
이미 제목을 보았겠지만, 이 글은 Clean Architecture를 iOS에 적용하여 얼마나 코드가 깔끔해졌는지, 얼마나 정돈이 잘 되었는지를 설명하는 글이 아니다. 다만 들어가기 전에 오해하지 말아야 할 점은, 필자는 Clean Architecture가 잘못되었다고 주장하는 것이 아니라는 점이다. 서버나 Java로 작성된 엔터프라이즈 소프트웨어를 작성하는 것이 아니라 iOS 앱을 개발하는 것이라면, Clean Architecture는 적합하지 않다는 것이다. 특히 SwiftUI와 Combine을 통해 네이티브하게 선언형 프로그래밍과 데이터 중심의 설계가 가능해진 iOS 13 이상에서 말이다. (벌써부터 SwiftUI 같은 '디테일'을 언급한다고, 눈살을 찌뿌리는 독자들이 있으리라 믿는다.) 또한, 본 글에서 다루는 'Clean Architecture'는 위 그림에 나오는 형태의 구성 자체를 말한다. 필자는 Uncle Bob (책과 위 디자인 패턴의 저자)이 주장하는 dependency 규칙들이나 layer를 나누는 일반적인 방법론에는 전적으로 동의한다.
배경
자세한 내용은 동명의 책이나 블로그 포스트에 잘 정리되어 있으니 여기서는 간단히만 설명한다.
Entities는 프로그램의 핵심 대상들을 말하는데, 이 '핵심 대상'이란 UI나 DB 구조 등의 변화에 바뀌지 않는 가장 고수준의 물건(객체)을 말한다. Use cases는 각 앱에 국한된 논리를 포함한다. 이들은 entities에 영향을 주지는 않지만, 마찬가지로 DB나 UI 등에 영향을 받지 않는 계층이다.
여기까지는 앱에서도 적용할 수 있는 내용이다. Use cases는 앱에서 있는 다양한 동선--화면들의 흐름--을 나타낸다고 보거나, 각 화면을 use case로 볼 수도 있겠다. 다만 녹색과 파란색 계층의 구성이 필자가 iOS 앱에서 어울리지 않다고 생각하는 부분이다.
Controller는 UI 등에서 입력을 받아 use case의 interactor에 전달해주는 역할을 한다. Presenter은 반대로 use case의 interactor로부터 UI에 전달해주는 역할을 한다. 사실, 대부분 iOS 앱들은 코드의 70% 이상이 이 controller-interactor-presenter 계층에 할애한다고 생각한다. 70%가 아니라 *90%*가 되어도 이상할 것이 없을 것이, 간단한 앱들은 대부분 API를 활용해 가공하는 것이 전부이기 때문이다.
아무튼 설명을 계속하자면, gateway는 DB, Web API 등에서 정보를 취합하는 창구 역할을 한다. 이 부분이 필요하다는 것에는 필자도 이견이 없다. 그렇지 않으면 (마음 한 구석이 찔리긴 하지만) 다른 계층에 DB 접근이나 네트워크 통신 코드가 들어가는데, 영 좋지 않다.
마지막으로 DB, devices, Web, UI, external interfaces는 별도의 설명이 필요
없다고 생각한다.
다시 iOS의 세계로 돌아와서, UI가 Devices와 Web, DB와 같은 계층이 있다는 점에서
다시 한 번 생각해보자.
과연 그런가?
UIKit의 UIView
라면 납득이 가지만, SwiftUI의 some View
라면?
또한, 이제 presenter라던지 controller와 같은 계층이 꼭 필요한가?
SwiftUI와 Combine의 등장에도 저 구조는 여전히 유효한가?
혹자는 Clean Architecture 책에 나와 있는 것처럼 프레임워크에 종속되면 안된다고 말할 수도 있다. UIKit을 쓰던 SwiftUI를 쓰던 논리적으로 UI의 위계는 최하단 계층에 있어야 된다고 주장할 수도 있다. 그런데, 우리는 이미 Apple이 만든 기기에서 돌아가는, Apple이 만든 언어로, Apple이 만든 도구로, Apple이 만든 프레임워크를 사용해 Apple 제품을 쓰는 사용자를 위해 앱을 만든다.
이렇게 쓰고 보니 조금 무섭기는 하지만, 그게 앱 개발의 현실이다.
우리는 화면에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해 Apple이 만든 함수를 사용하고, 앱의
시작점도 Apple이 정해준 AppDelegate
에서 시작한다.
Apple이 새로운 제품을 지원하기 위해 앱의 시작점을 변형한다면
우리는 별 수 없이 앱을 변형해야 한다.
이런 상황에서 우리가 할 수 있고, 해야 하는 최선은 주어진 프레임워크에서
효율적인 앱을 설계하는 나름의 방식을 찾는 것이다.
이것을 아키텍쳐라고 부르지는 않겠고, 디자인 패턴이라고 하겠다.
(Clean Architecture 책 앞부분에서 디자인 패턴과 아키텍쳐는 명확한 경계가 없다고
말했지만...)
아무튼, 지금까지 필자의 주장을 요약하자면 iOS에 Clean Architecture를 곧이곧대로 적용하면 안된다는 것이다. iOS 개발을 할 때, 혹은 다른 특수한 목적으로 개발을 할 때에는 상황에 맞춰서 경계를 합치거나 변형을 해야 한다. 그것이 우리에게 주어진 프레임워크에게 종속되는 일이더라도 말이다 (적어도 Apple이 직접 만든 것들에 대해서는).
그런데, 여기로 내용이 끝난다면 이 글은 결국 필자의 '주장'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닐 것이다. 프로그래밍은 이념 싸움이 아니다. 아래에 새로 도입된 SwiftUI와 Combine을 활용하여 위의 Clean Architecture 패턴을 충실히 구현한 결과를 서술한다.
Clean Architecture의 구현
실제 구현은 이와 같은 순서로 진행하지 않았지만, 이해를 위해 Presenter
,
Controller
, Interactor
의 protocol을 먼저 나열한다:
Interactor
는 결과적으로 Controller
의 InputPort
가 되고, Presenter
를
OutputPort
로 가질 것이다.
또한 Controller
는 view로부터 action을 전달 받을 것인데, 매개체는
Controller
의 actionHandler
가 될 것이다.
Presenter
는 view에게 ViewModel
을 제공할 것인데, 그 구체적인 방식은 view가
Presenter
를 ObservedObject
로 가지고 이벤트를 받는 것이다.
나아가서 Interactor
는 그림에 나와 있듯이 이들과 직접 소통하지 않고
InputPort
와 OutputPort
라는 추상 계층을 사이로 소통한다.
이는 use case 계층의 Interactor
를 나머지 둘과 분리하기 위함이다.
Associated type InputPort
와 OutputPort
는 다음과 같이 MyInputPort
와
MyOutputPort
로 정의되어 있다:
보면 MyInputPort
와 MyOutputPort
는 각각 MyRequest
와 MyResponse
라는
정해진 메시지를 통해 데이터를 주고 받는다.
MyRequest
와 MyResponse
는 각각 enum
과 struct
로 하나는
Controller
가 InputPort
, 즉 Interactor
에게 보낼 요청을 나열한 것과 다른
하나는 Interactor
가 OutputPort
, 즉 Presenter
에게 넘겨주는 데이터이다.
MyRequest
의 경우에는 요청을 나열한 것이기 때문에 각 요청에 대해 associated
value가 있는 경우가 많을 것이다.
실제 Interactor
의 구현인 MyInteractor
는 다음과 같은 모습을 가진다:
MyGateway
는 실제 DB 혹은 API를 감싸는 protocol으로, interactor와의 dependency
inversion을 위함이다.
이 부분은 use case의 핵심 논리를 담고 있기 때문에 위의 예시보다 복잡할 것이다.
지금까지가 use case에 해당하는 interactor 단의 구조이다. 벌써부터 불필요한 boilerplate 코드가 산더미다. Apple이 WWDC 2019에서 강조한, "우리 앱의 특색 있는 기능" 구현은 언제부터 할 수 있을까?
이제 Controller
의 구현인 MyController
를 보자.
기본적인 구조는 다음과 같다:
다른 구현과 마찬가지로 MyController
는 단순히 구현의 예시를 위한 stub
클래스이다.
Presenter는 SwiftUI를 사용할 때 특히 역할이 없는 부분이다. 다음과 같은 단순한 형태이다:
Presenter
는 view가 사용하기 쉬운 형태로 response를 가공하여 넘겨주는 역할을
하지만, SwiftUI는 view가 상태의 함수로서 viewModel
의 변화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처리하기 때문에 그 필요성이 사라졌다.
마지막으로 이 모두를 취합하는 view인 MyView
의 구조는 아래와 같다:
지금까지의 객체들은 factory를 통해 한 곳에서 생성해줄 수 있다:
또한 여기서 제시한 구조는 메모리 cycle이 생기지 않도록 객체들의 소유권을 분배한
것으로, 각 class의 deinit
에 메시지를 넣어 제대로 release되는지 확인해볼 수
있다.
Xcode의 디버그 메모리 그래프를 통해 각 객체의 관계를 확인하면, MyController
와
MyInteractor
는
와 같고, MyPresenter
는
와 같다.
모두 일차적으로 SwiftUI view인 MyView
에 의해 retain되어 있다.
지금까지의 코드는 모두 핵심 논리 없이 Clean Architecture의 boilerplate만을 구현해본 것이다. Code generator 도구를 사용하면 boilerplate 코드 작성에 대한 부담이 줄어들 수도 있겠지만, 이는 근본적인 해결책이 아니다. 위에 구현한 것과 같이 Clean Architecture를 곧이곧대로 구현한 것은 아니지만, VIPER과 같은 Clean Architecture의 변형도 '너무 복잡하다'는 비판을 피해가지는 못한다.
대안?
그러나 Clean Architecture에서 배울 점은 분명히 있다. 동명의 책에서 강조하는 바처럼, 역할에 맞게 계층을 나누는 방법론을 적용하여 SwiftUI와 Combine을 활용한 모던 iOS 앱에 적합한 패턴을 구성할 수 있다.
필자는 위의 구조에서 필요 없는 부분인 presenter 계층을 제거한 채 view model에 대응되는 state를 사용하고, controller 계층을 제거하고 View가 직접 interactor에 action을 전달하는 방식을 채택하였다. 이러한 구성으로는 데이터가 단방향으로 흐른다 (unidirectional data flow). View가 interactor에게 action을 보내면 interactor는 state를 업데이트하고, state의 변화를 view가 감지하여 자동으로 rendering을 하는 방식이다. 이는 redux의 구성과 유사한데, 필자가 이 구조로 macOS를 위한 간단한 video converter 앱을 만든 내용을 다음 포스팅에 소개하겠다.